포장이사할 때 꼭 알아야 할 이사체크리스트

포장이사할 때 꼭 알아야 할 이사체크리스트

이사체크리스트

포장이사를 계획하고 있다면 챙겨야 하는 부분이 많이 있는데요. 이사갈 지역이 낯선 곳이라면 더욱 어려움을 느끼실 겁니다.  쉽고 어렵지 않게 포장이사하는 방법과 비용도 절약할 수 있는 이사체크리스트에 대해 지금 알아보겠습니다.


체크리스트(한달 전)

이삿짐 센터 알아보기

포장이사를 계획하고 있다면 적어도 한 달 전에는 이삿짐센터에 예약해야 하는데요. 내가 생각하고 있는 이사날짜가 손 없는 날이거나 사람들이 몰리는 날이면 예약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이삿짐센터마다 금액이나 서비스가 상이하기 때문에 최소 한달 전에는 지역 이삿짐센터나 이사 어플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사 갈 집 구조 및 크기 확인

이사 갈 집 계약을 완료했다면 메모지와 줄자를 가지고 이사 갈 집을 방문하여 벽면의 폭과 천정과의 높이를 잘 기록해 놓아야 합니다. 이사하면 기존 가전기기나 전자제품 옷장 등을 재배치해야 하는데 어림짐작으로 하면 이삿날 원하는 곳에 배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사에 맞춰 새롭게 가구를 구입하기도 하는데 사전에 이사갈 집의 구조와 치수를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이삿날 당황하지 않습니다.


체크리스트(2주 전)

이사날짜 확인

보통은 계약 잔금 지급하는 날이 이사하는 날로 정해져 있지만 중개사무소와 관리사무실, 이삿짐센터에도 2주전에는 한번 더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사 당일에는 정신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아침부터 하나하나 착오없이 진행되어야 하는 만큼 꼼꼼하게 체크해야 합니다.

물건 배달 예약하기

새로 구입할 물건들의 배달일은 이삿날이나 이삿날 이후로 미리 예약해 놓는 것이 좋은데요. 사다리차를 이용해야 하는 부피가 크거나 무거운 물건은 이삿날에 맞춰야 하고 나머지 물건은 큰 이삿짐이 정리되면 배달해서 정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버릴 물건 확인하기

이사하기 2~3주 전에는 두고 갈 물건과 새로 구입할 물건을 구분하여 체크해야 하는데요. 버릴 물건이 폐기물 스티커나 별도의 추가비용 들어가는 경우가 많으므로 사전에 두고 갈 물건의 처리방안에 대해 생각해놔야 합니다.

대형 가구폐기물은 스티커가 없으면 불법

옷장, 침대와 같은 대형 폐기물은 주민센터에 신고한 후 일정 금액의 폐기물 처리비용을 지불해야 하는데요. 비용은 보통 몇천원에서 몇만원까지이며 주민센터, 구청 홈페이지 등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인 경우에는 대부분 관리사무실에 비용을 지불하면 대신 처리해 줍니다.

가전폐기물은 무료인 경우가 많은데요. 폐가전 수거 예약센터 또는 전화(1599-0903)를 통해 무료수거가 가능한 지역인지 확인 후 신청서를 제출하면 별도의 처리비용 없이 가전제품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가전 수거 홈페이지


집주소 변경

은행, 카드사, 보험사, 우체국 등 우편물이나 택배 주소지를 새로 이사할 집으로 변경해야 하는데요. 요즘에는 홈 주소변경서비스를 이용하면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도 일괄적으로 주소변경 신청이 가능합니다.


주소지 변경 홈페이지


체크리스트(일주일 전)

버릴 물건과 산 물건 체크

두고 갈 물건은 폐기물 스티커 등을 붙여 놓고 수거 날짜에 맞춰 정리해야 하고 새로 산 물건들은 요청한 날짜에 제대로 배달되는지 확인합니다.

TV, 인터넷, 도시가스 변경 신청

이사날짜에 맞춰 TV, 인터넷, 도시가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통신사나 해당지역 도시가스공급자에 미리 변경 신청을 해야합니다.

관련서류 준비

이삿날에는 아침부터 정신이 없기 때문에 이삿짐 모두 포장된 상태라 필요한 서류를 미리 별도의 가방 등에 모아두지 않으면 각종 신고에 필요한 서류를 재발급 받거나 등기를 하기 못해 큰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장이사


체크리스트(이사 당일)

공과금 정산

중개사무소에서 세입자를 대신해 이사 가는 날 오전에 공공요금을 정산해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중개사무소에 부탁하면 편리하게 정산할 수 있는데요. 그렇지 않다면 이사가는 날 오전 수도, 도시가스, 난방 계량기를 확인하여 각각의 공급사와 정산을 해야 합니다.

일수로 계산한 금액을 미리 정산하거나 새로 들어오는 입주자에게 인수인계 해줘도 무방합니다.

이삿짐 정리

이사 갈 집에 도착하면 포장이사 하는 분들에게 미리 구상해 놓은 가구배치 계획을 알려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무거운 가구 등이 생각하지 못한 공간에 놓여질 수도 있고 시간이 더 오래 걸려 이삿짐센터 직원과 분쟁이 생기기도 합니다. 사전에 생각해 놓은 계획을 미리 그려놓거나 사진을 찍어 반드시 이삿짐센터 직원에게 요청해야 합니다.

전입신고, 확정일자 받기

요즘은 이사전에 미리 전입신고를 하기도 하는데요. 보증금에 대한 권리 등의 문제도 있기 때문에 아무리 늦어도 이사 당일에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전학신청

만약 초등학생 아이가 있다면 미리 취학아동 전입통지서를 받아 학교에 제출해야 하며, 중학생의 경우 전학용 재학증명서를 관할 교육청에 제출해야 합니다.

고등학생은 이사한 주소지의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아 관할 교육청에 제출하면 전학이 가능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글!

전세보증금 관련 정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