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인 간이과세자 부가세 세금계산서는?(일반과세자 비교)

간이과세자

처음 상가를 임차해서 오픈하거나 공방을 운영하게 되면 대부분 간이과세자로 시작하게 되는데요. 임대인의 일반, 간이 여부에 따라 부가세와 세금계산서 발행 여부는 어떻게 되는지 꼼꼼히 알아보겠습니다.


임대인이 일반과세자

임대인이 일반과세자인 경우 사업을 이제 막 시작하는 임차인에게는 불리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경우의 수를 살펴보겠습니다.

임대인 일반과세자, 임차인 일반과세자

이 경우 임대인, 임차인이 서로 동일한 조건인 상황입니다.

임대료 100만원으로 가정해 보겠습니다.

  • 임차인은 임대료 100만원에 부가세 10%를 더한 110만원을 납부합니다.
  • 임대인은 임대료의 10%인 10만원을 부가세로 신고합니다.
  •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세금계산서를 발행합니다.
  • 임차인은 부가세 신고기간에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임대인 일반과세자, 임차인 간이과세자

이 경우가 임차인에게 가장 좋지 않은 케이스인데요.

상가를 구해서 계약할 경우 이부분을 잘 체크해야 합니다.

  • 임차인은 임대료 100만원에 부가세를 더한 110만원을 납부합니다.
  • 임대인은 임대료의 10%인 10만원을 부가세로 신고합니다.
  • 임차인은 간이과세이기 때문에 부가세 10% 전부를 공제받을 수 없습니다.

대부분 임대차계약시 임대료 외에 부가세 별도로 기본계약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사전에 조율하지 않으면 임대료의 10%를 어쩔 수 없이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


임대인이 일반과세자인 경우

임대인 일반사업자


부가가치세 계산방법


임대인이 간이과세자

임대인이 간이과세인 경우 세금계산서 발행이 어려운데요. 아래의 경우의 수를 따져보겠습니다.

임대인 간이과세자, 임차인 간이과세자

이 경우 임대인, 임차인 서로에게 무난한 상황입니다.

임대료 100만원으로 가정해 보겠습니다.

  • 임대인은 임대료 중 부가세 3%를 신고해야 합니다.
  • 임차인은 임대료 100만원을 임대인에게 지급합니다.
  • 임대인은 100만원 중 3만원을 부가세로 납부하게 되는 것이죠!

임대인 간이과세자, 임차인 일반과세자
  • 임대인이 임대료의 부가세 3%를 신고하는 것은 동일합니다.
  • 임차인도 임대료 100만원을 임대인에게 지급하는 것도 동일한데요.
  • 하지만 세금계산서 발행은 불가해서 임차인은 부가세 공제가 안됩니다.
  • 다만 종합소득세 신고시 경비처리는 가능합니다.


임대인이 간이과세자인 경우

임대인 간이사업자


상가 임대차계약할 때 내 사업자의 간이, 일반 여부만 따져서 계약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임대료의 세금계산서 발행 및 부가세 여부는 임대인이 어떤 유형의 과세자인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임대차계약시 이 부분을 놓친다면 짧게는 1년에서 2년까지 예상하지 못했던 추가금액을 납부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하는 단계라면 너무 빠르게 진행하지 말고 상가를 구하는 시점부터 하나하나 꼼꼼히 챙겨서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부가세 가산세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