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권리금 4가지(시설 영업 허가 바닥권리금)

권리금

유동인구가 많은 핫플레이스 강남이나 명동, 성수동에서 공실인 상가에 바닥권리금이 얼마라는 문구를 보신적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상가를 인수할 때 지불하는 시설, 영업, 허가, 바닥 권리금 4가지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권리금이란?

기존임차인이 영업을 하려는 신규임차인에게 영업시설의 인테리어, 비품, 영업 노하우 등을 양도해주는 대가로 받는 금액입니다.

임대차 계약사항의 보증금와 임대료 외에 별도로 산정되는 금액입니다.

“임대인은 임대차 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종료시까지 권리금계약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시설권리금

시설물에 투자한 금액에 대해서 보전해 주는 성격의 금액으로 기존 임차인이 영업 활동을 위해 설치한 내부 시설물이나 인테리어 비용을 말합니다.

식당을 인수한다고 했을 때 주방시설, 테이블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시설권리금은 일반적으로 5년 감가상각을 기준으로 정해지는데요.

예를 들어 기존 시설비용이 1억원이 들어갔다면 3년된 매장의 권리금액은 2년의 비율인 4천만원이 책정되는 것입니다.


영업권리금

신규임차인이 그 매장을 인수하더라도 매출을 보장받을 수 있다면 그에 대한 보상의 성격으로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동일업종으로 들어올 때 의미가 있는 것으로 다른 업종으로 들어온다면 영업권리금액은 사라지게 됩니다.

기존임차인이 영업을 하면서 확보한 영업노하우, 고객명단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요.

필라테스, 태권도장의 고객명단이나 식당의 레시피 등을 영업권리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허가권리금

특수한 상가의 형태로 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복권판매점의 복권판매권과 담배권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제목을 입력해주세요 002 2024 01 14T134149.121


비용 계산

상가권리금은 기존임차인과 신규임차인 간 상호 협의 하에 금액을 정하게 되는데요.

업종과 지역에 따라 시설, 바닥, 영업권리금액의 계산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업종 특성과 해당지역 상권의 룰을 잘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지역 상가에 대해 잘 알고있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법적으로 보장받는 금액이지만 협의과정에서 결정되는 부분이 많다보니 분위기에 이끌려 급하게 계약하지 말고 신중하게 주변정보를 알아보고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영업권리금액의 경우 1년간의 매출수익을 평균하여 계산하기도 하고 필라테스, 헬스장 등의 회원이 있는 업종의 경우 회원수를 곱해서 계산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월매출이 1,000만원이라면 영업권리금액은 1.2억으로 판단하는 것이죠!


수수료계산


중개수수료

상가 임대차계약에만 신경을 쓰다 보면 갑자기 추가 계약서가 나오는데요.

바로 권리금양도양수 계약서입니다. 비용에 대한 부분은 합의했지만 수수료에 대한 부분은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권리금액에 대한 수수료는 매도자(양도자)한테 받고 금액의 5~10%의 수수료를 지급하는 것이 관행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제목을 입력해주세요 002 2024 01 14T094814.522 1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